이번 글에서는 실업급여 모의 계산 방법과 직접 계산하는 공식을 상세히 설명하겠습니다.
실업급여 계산 공식
실업급여는 이직 전 평균임금의 60% × 1일 실업급여 지급액 × 지급일수로 계산됩니다.
✔ 1일 실업급여 지급액 공식
1일 실업급여 = 이직 전 평균임금의 60%
(단, 상한액: 1일 최대 66,000원, 하한액: 최저임금의 80%)
💡 예시
평균임금이 10만 원이라면 👉 1일 실업급여 6만 원
평균임금이 12만 원 이상이라면 👉 1일 실업급여 최대 66,000원(상한액)
📌 주의
2024년 기준 1일 최소 실업급여: 6만 1,568원
최저임금의 80% 미만이면 최저 보장액이 적용됨
실업급여 모의 계산 방법
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실업급여 모의 계산기를 이용하면 간편하게 수급 예상 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✔ 실업급여 모의 계산기 이용 방법
1️⃣ 고용24 홈페이지 접속
2️⃣ 메인 메뉴에서 ‘실업급여 모의 계산’ 선택
3️⃣ 이직 전 평균 월급 입력
4️⃣ 고용보험 가입 기간 입력
5️⃣ 나이(50세 이상 여부) 및 장애 여부 선택
6️⃣ 결과 확인!
실업급여 직접 계산하는 방법
고용보험 홈페이지를 이용하지 않고도, 간단한 공식으로 실업급여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.
✔ 직접 계산 공식
📌 1일 실업급여 = 평균임금 × 60%
📌 총 지급액 = 1일 실업급여 × 지급일수
💡 예시 1: 평균 월급 300만 원, 50세 미만, 가입기간 6년
평균임금: 300만 원 ÷ 30일 = 10만 원
1일 실업급여: 10만 원 × 60% = 6만 원
지급일수: 180일
👉 총 실업급여 = 6만 원 × 180일 = 1,080만 원
💡 예시 2: 평균 월급 400만 원, 50세 이상, 가입기간 12년
평균임금: 400만 원 ÷ 30일 = 13.3만 원
1일 실업급여: 최대 상한액(66,000원 적용)
지급일수: 240일
👉 총 실업급여 = 66,000원 × 240일 = 1,584만 원